인도네시아 만델링 G1 | 코스타리카 따라주 SHB | |
원두명 | 인도네시아 만델링 G1 (Indonesia Mandheling G1) |
코스타리카 따라주 SHB (Costa Rica Tarrazu SHB) |
나라 | 인도네시아(Indonesia) | 코스타리카(Costa Rica) |
지역, 농장이름 | 주로 수마트라 섬(Pulau Sumatra)에서 재배된다. (주요 산지 : Aceh, Bener Meriah, Takegon) | 따라주(코스타리카 남부에 위치한 강 이름이다.) |
품종 | Catimore, Typica | Catura(자연종), Catuai(교배종) |
원두등급(품질), 재배고도 | Grade 1, 결점두 수 11개 이하 Grade 2, 결점두 수 11~25개 Grade 3, 결점두 수 26~44개 Grade 4a, 결점두 수 45~60개 Grade 4b, 결점두 수 61~80개 Grade 5, 결점두 수 81~150개 재배고도 1200~1500m (수확시기 6~10월) |
- SHB; Strictly Hard Bean (재배고도 1200~1650mm / 생산량 40%) - GHB; Good Hard Bean (재배고도 1100~1250mm / 생산량 10%) - HB; Hard Bean (재배고도 800~1100mm / 생산량 19%) *이하 내용은 맨 아래 공간에 별첨 |
날씨 | 구름이 많아 흐린 날씨 | |
물온도 | 95도 | |
분쇄도 | 머신 사용, 드립용으로 조정해 분쇄(그래도 얇은 편) | |
로스팅(배전) | Fullcity(중배전) | City(중배전) |
맛 설명 | [커피창고] 다크초콜렛, 오크, 너트 - 바디감이 좋다. - 유럽에서 인기가 좋다. - 중남미 커피에 비해 부드러우면서 강한 농도를 가지고 있다. - 수마트라 섬의 특별한 토양으로 인하여 거친 흙 내음과 스파이시한 향이 있다. -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특징이다. - 남성적인 향미가 특징이다. - 뒷 맛의 여운이 오래 남는다. - 묵직한 농도와 초콜렛 같은 풍미로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농도의 아라비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. [개인평] - 독특한 향미(겨내...=남성적인 향미) - 묵직한 바디감 - 긴 여운 |
[커피창고] 그린애플, 슈가케인, 피칸 - 브라운 슈가와 같은 깊은 단 맛 - 견과류의 고소함 - 상큼한 과일류의 신 맛처럼 부드러운 산미 - 균형잡힌 밸런스로 스트레이트 커피(핸드드립)로도 휼륭한 커피 - 깔끔한 여운 - 가볍지 않은 바디감 [개인평] - 과일의 산미 - 확실히 흑설탕의 향이 느껴짐 - 여운이 길지 않은 편 (식은 뒤) - 피칸 같은 견과류의 고소함이 느껴짐 |
메모와 소감 | - 인도네시아 만델링은 향부터 독특했다. 여태 맛 보았던 커피들과 확연히 다른 개성을 지녔다. 남미, 중동의 향이 느껴졌다. 이러한 미들의 향미가 너무 강한 나머지 다른 맛이 잘 안 느껴진다. 혹자는 1차원적인 맛이 난다고 표현한다. 기분 나쁜 쓴맛은 아니기 때문에 베이스로 쓴다고 한다. (동남아 커피는 주로 꽃 향이 나지만 대부분 묻힌다.) - 커피의 맛은 사람의 컨디션에 영향을 받는다. 간혹 커피가 짜게 느껴진다면 수분 부족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. - 다음부터는 강렬한 main flavor 뒤에 숨어 있는 미묘함을 느껴봐야겠다. 오늘은 인도네시아 만델링의 강렬한 미들 향미에게 혼났다. - 커피의 charactor는 신맛에서 주로 갈린다. - 커피 원두를 판매하는 곳에서 적은 설명에 연연하지 말아야겠다. 커핑노트는 많은 것을 시사하지만 모든 것을 설명하지 않는다. 오방형 1차원으로 바라보는 것을 넘어 복합체로 바라봐야겠다. |
*코스타리카 커피 등급
SHB; Strictly Hard Bean (재배고도 1200~1650mm / 생산량 40%)
GHB; Good Hard Bean (재배고도 1100~1250mm / 생산량 10%)
HB; Hard Bean (재배고도 800~1100mm / 생산량 19%)
MHB; Medium Hard Bean (재배고도 500~1200mm / 생산량 14%)
HGA; High Grown Atlantic (재배고도 900~1200mm / 생산량 5%)
MGA; Medium Grown Atlantic (재배고도 600~900mm / 생산량 8%)
LGA; Low Grown Atlantic (재배고도 200~600mm / 생산량 3%)
P; Pacific (재배고도 400~1000mm / 생산량 1%)
728x90
반응형
'커피 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케냐 AA와 탄자니아AA 비교하기-커피창고 (0) | 2020.10.29 |
---|---|
케냐 AA와 브라질 옐로우 버번 비교하기-커피창고 (0) | 2020.10.25 |
르완다 버번-커피창고 (0) | 2020.10.17 |
볼리비아 SHB-커피창고 (0) | 2020.10.14 |
에티오피아 시다모 구지(구찌) G1(grade 1)-커피창고 (0) | 2020.10.01 |